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

단청

프로필사진
  • 글쓰기
  • 관리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RSS

단청

검색하기 폼
  • 단22love (130)
    • apple (18)
    • banana (58)
    • sweet (38)
    • vov (12)
    • qust (1)
  • 방명록

banana (58)
또 다른 상징적

이에 식물의 미적가치 속에는 인간 자신의 사고,정서와 주관적 경험의 측면이 식물을 통해 승화되어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식물이 갖는 또 다른 상징적인 아 름다움은 마음을 다스릴 수 있다는 점에서,인간의 심리와 관련된 도덕적 아름다 움을 갖고 사람의 마음과 마음을 연결하는 소통의 수단이 된다는 점이다

banana 2018. 2. 26. 18:08
인간의 품성

도덕미는 예술에 표현된 인간의 품성을 말하며,도덕미에서의 예술은 그 사람의 있는 그대로가 작품에 표현되는 것으로 예술이 사람들의 본성 안에서 완성되어 나타난 것이라 여긴다 즉 예술은 인간의 품성의 소산으로 행동하는 이의 품성 그 대로가 작품에 표현되고,예술작품을 만든 창작자,그 사람의 전 인격이 스며있는 인격적 징표이다 이는 예술을 통해 감상자들이 예술가의 인격을 느끼고 받아들이 면서,대상행동34)을 통해 기쁨,슬픔,즐거움 등 여러 가지 감정들을 전달받을 수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

banana 2018. 2. 25. 18:07
인간의 손이 닿아

이와 대조되어 예술미는 인간의 손이 닿아 창조된 미를 말하며,서양의 미와 관 련이 있다 ‘인간이 만물의 척도’라고 하는 인간중심사상에 그 가치가 부여되었던 서양의 미는 자연의 아름다움보다는 인간의 아름다움에 그 강조점을 둔다 하지만 예술미는 이러한 서양의 사상을 유지한 채 자연미를 손상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더욱 높은 가치의 미를 표현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즉,인위성을 거부하지 않는 제3의 자연미라고 보아야 한다

banana 2018. 2. 24. 18:07
식물의 자연미

식물의 자연미에는 자연의 조화로운 질서와 법칙의 아름다움이 있다 자연미란 인간의 의도가 개입되지 않은 있는 그대로의 순수한 아름다움을 의미한다 즉 인 위성을 배제한 천연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것이다 자연미는 동양의 미와 관련성 을 가지며,‘자연’이라는 용어가 동양의 자연관인 도가의 사상으로부터 나왔다는 것에서 볼때 자연미가 동양의 미와 관련이 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위적 인 꾸밈이 없는 상태에서 자연과 하나 되는 모습을 나타낸 산수화를 즐겨 그렸다 는 것에서도 자연미와 동양미의 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

banana 2018. 2. 23. 18:07
인간의 심리

식물을 통해 우리가 느끼는 아름다움에는 색감이나 형태에서 오는 조형적 아름 다움뿐 아리라 유기적인 형태감,율동감,선의 표현 등 식물의 무한한 에너지를 보여주는 생명의 이미지가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‘자연이란 그 안에 운동의 원 리를 가진 것’이라 정의하였으며,특히 이러한 식물의 자연스러운 성장주기는 생 성과 소멸의 생명성을 보여주며 예술가들의 미의식을 자극하고 그들의 느낌과 생 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소재가 되고 있다 보통 식물에서 느껴지는 아름다 움이란 우아함,화려함,청초함,관능의 미 등이다 이외에도 식물에는 자연에서 발견되는 ‘자연미’와 인간의 창조성을 가미한 ‘예술미’,그리고 인간의 심리와 관련 된 ‘도덕미’가 있다

banana 2018. 2. 22. 18:06
장애인의 목표

이상과 같이 장애인의 목표를 살펴본 바, 이를 다시 사회복지 목표와 접목시켜 보 면, 첫째, 인간존중 목표로서의 장애인의 존중과 가치보장, 둘째, 사회적 기능회복 목표로서의 장애인에 대한 재활서비스 강화, 셋째, 사회보장 목표로서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연대 책임으로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

banana 2018. 2. 20. 17:47
사회적 연대책임

장애인의 자활 노력이다 장애인은 자기가 가지고 있는 능력을 최대한 활용 하여 사회경제 활동에 참여하도록 노력하는 한편, 이를 위하여 그 가족도 장애인의 자립촉진을 지원해야 한다 사회적 연대책임이다 장애인복지를 위해 장애인 자신의 의지와 그 가족의 노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불충분하고 모든 국민의 이해와 협조 가 필수적이다 즉 장애인복지는 장애인 본인 사회환경, 국가와 지방자치단체, 국민 과 가족 등 모든 사람들의 협력과 연대책임으로 이룰 수 있다

banana 2018. 2. 19. 17:47
구성원간의 상호영향의식

둘째,학습자가 사회와 구성원간의 상호영향의식을 인식하기 위한 방 안에 대해 생각해보자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에서는 사회에 대한 영향력 을 사회과학적 또는 역사적인 개념,사실,일반화 등을 통해 가르치려한다 이러한 가르침을 통해 사회에 대한 영향력을 인식할 수는 있으나,그 효과는 미미할 것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사회적 사실 등은 학습자의 경 험과 괴리된 하나의 외부적 존재로 위치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에서 학습자는 ‘사회의 영향력’을 개념적으로 이해할 수 있지 만,나와 구성원에게 미치는 ‘사회의 영향력’의 중요성을 학습자가 실감 하기는 어렵다

banana 2018. 2. 12. 23:39
합의의 대상

또한 이 사회에 대한 구성원의식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회문제와 갈 등문제를 다룸에 있어 해결을 지향해야 한다 구성원의식은 자신이 사회 속에 속해져 있다는 감정과 더불어 그 사회 속에 속해져 있는 다른 구성 원간의 ‘우리’라는 감정을 갖는 것을 동반한다 ‘우리’라는 감정을 갖기 위해서 타인은 나와 다른 집단에 소속된 것이 아닌 논쟁과 문제의 중심 에 서 있는 공동체 속에 함께 살아가는 대상으로 인식해야한다 이는 논 쟁에 있어서 상대방은 자신의 논리를 설득하기 위한 수단적 존재가 아닌 함께 문제를 해결해나가기 위한 동료라고 느낄 때 형성될 수 있을 것이 다 즉,구성원 의식을 형성하기 위해서 논쟁에 참여하고 있는 다른 구성 원은 비판적 논증의 대상이 아닌 이해와 합의의 대상이어야 하는 것이다

banana 2018. 2. 11. 23:39
가치와 지식

그럼 합의지향 논쟁문제수업이 공동체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공동체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수업의 방안으로 합의지향의 논쟁 문제수업이 가지는 적합성은 이러한 수업이 공동체의식의 하위구성요소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하여 고려해봄으로써 판단해볼 수 있다 첫째,공동체의식의 하위구성요소인 구성원의식에 대해 살펴보자 학습 자들이 우리 사회에 소속되어 있음을 인식할 수 있게끔 하는 방법은 무 가치와 지식 등을 학습자가 일방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닌,사회문제에 대해 직접 탐구하고 토론하는 경험을 통해 그 사회의 소속감을 느낄 수 있다고 본다 비록 그것이 사회의 어 두운 면과 가치 갈등을 전면에 드러낸다고 할지라도 문제와 논쟁의 갈등 상황을 인식하고 이에 참여하여 자신의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그 사회에..

banana 2018. 2. 10. 23:38
이전 1 2 3 4 ··· 6 다음
이전 다음

Blog is powered by Tistory / Designed by Tistory

티스토리툴바